본문 바로가기

심리

불편한 상황 현명하게 대처하는 방법

반응형

사람들과의 관계를 원만히 하기 위해 대부분 배려하는 마음이나 행동을 하게 됩니다. 하지만 자신과 불편한 사람에게 배려를 해야 한다면 어떻게 행동을 하는 게 현명한 방법일까요? 이럴 때에는 억지로 배려하기보다는 상대를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는 것이 최선입니다. 보통 '다름을 인정하라'는 말을 쓰기도 하지만 머리로는 이해가 되면서 막상 그 상황이 되면 당황하거나 타이밍을 놓치기도 합니다. 

> 불편한 상황 현명하게 대처하는 방법

1. 억지로 노력하지 않는다

누구에게나 불편한 사람은 있기 마련입니다. 대부분은 상대방을 먼저 배려하는 것이 좋다는 이야기를 하지만 상황이나 상대에 따라 이 말을 완전히 이해하기는 어렵습니다. 억지로 하는 배려는 자신에게 스트레스가 되는 경우도 있으니까요. 

 

상대방이 불편하거나 거북스럽다면 억지로 노력하지 않는 것이 중요합니다. 그 어색한 순간을 "불편하면 뭐 어때!" 라고 아무렇지 않게 생각하며 발상을 바꾸어 보는 겁니다. 생각을 전환하면  관점도 달라집니다. 나는 상대방의 사정을 모른다는 점을 쿨한 인정을 하고 눈이 마주쳤다면 심플하게 눈인사 정도로만 넘기거나 약간의 미소만으로만 표현을 하고 자신에게 집중을 하는 것이 바랍직합니다.

반응형

2. 상대가 자신을 싫어하더라도 그대로 받아들인다

특정 사람을 싫어하는 이유는 위화감 때문입니다. 상대방이 자신을 싫어한다는 것을 알게 되면 말은 위축되고 행동은 부자연스러워지게 마련입니다. 하지만 위축되는 행동을 보이면 상대는 나에 대해 더욱 이해할 수 없고 붙임성이 없는 사람으로 오해하기 쉽습니다.

 

이럴 때에는 상대방과의 유대감이 필요합니다. 자신이 아닌 상대방의 마음을 이해하는 노력이 필요합니다. 그렇다고 상대에게 맞춘다기 보가는 한발 물러서 상대를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는 자세가 필요합니다.

3. 상대에게 용서를 구할 때에는 짧고 간단하게

상대가 자신에게 말조차 걸지 않은 만큼 몹시 화가 난 상태라면 상대방에게 말을 하기는 어렵습니다. 이럴 때에는 왜 화가 났는지는 몰라도 사과부터 합니다. 상대가 화가 난 이유는 상대방 생각의 문제이고 빠른 사과는 상대방의 영역을 존종한다는 표시입니다. 사과는 하되 구구절절 사연을 붙일 필요는 없고 '불편하게 만들어 미안하다'라는 의미의 사과로만 합니다.

 

4. 같이 험담하는 것은 배려가 아니다

상대가 다른 사람에 대해 험담을 할 때 대부분 그 분위기를 맞추기 위해 함께 그 험담에 동참해야 할 것 같은 느낌을 받기도 합니다. 이것은 상대의 마음을 편하게 하고 유대감을 쌓기 위한 명분이 되기도 하지만 다른 사람의 험담은 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자신의 입에서 나온 험담은 언제 어떻게 자신에게 돌아올지 모릅니다.

그렇다고 상대에게 험담을 하지 말라는 충고의 말을 하게 되면 그 사람과 관계가 불편해지거나 반감을 느낄 수 있습니다. 이럴 때에는 자신의 의견을 말하기보다는 들어주기만 하는 겁니다. 이것도 상대를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는 행동입니다.

 

5. 직접 물어보는 방법

사람들 중에는 분위기를 파악이 늦어 눈치가 없거나 상상력, 주변을 이해하는 능력이 부족한 사람들이 있습니다. 주변의 상황을 도저히 이해가 안 되거나 불편할 때에는 직접 물어보는 겁니다. 직접 물어보는 행위는 자신이 잘 모르고 있다는 것을 직접적으로 표현하는 것이기 때문에 상대에게 이해를 하는 것에도 도움이 됩니다.

"내가 뭘 잘못했는지 말해 줄래?"라고 솔직하게 물어봅니다.

반응형